개인정보 (Privacy)121 728x90 AI 및 MCP(Model Context Protocol) 환경 개인정보보호 가이드 최근 인공지능(AI) 기술과 Model Context Protocol(MCP)을 활용한 서비스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개인정보보호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MCP는 AI 모델의 컨텍스트 관리를 위한 프로토콜로, 사용자 환경이나 입력 데이터를 AI 서비스에 전달하고 관리하는 데 주로 활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기술적, 관리적 방안이 필수적입니다. AI와 MCP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데이터 관리, 인증 및 접근 권한, 로그 관리 등 실무적인 대응 방안의 사례 및 예시입니다.1. AI 및 MCP 활용의 배경과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MCP(Model Context Protocol)란 무엇인가?MCP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컨텍스트)를 모델이 이해하도.. 2025. 4. 2. Prisma Access 활용 개인정보 망분리 효과와 인터넷 통제 및 보호 조치 「개인정보보호법」 및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에서는 대규모 개인정보 처리자에 대해 망분리를 요구합니다. 망분리의 목적은 개인정보가 저장된 내부 업무망을 인터넷으로부터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완벽히 분리하여 개인정보 유출 위험의 최소화입니다.물리적 망분리 (Physical Separation)개념인터넷망과 업무망을 독립된 단말과 네트워크로 완벽히 분리특징가장 높은 수준의 보안성 제공개인정보 처리 PC에서 인터넷 접근이 불가능하여 악성코드나 공격 차단 효과가 큼단점사용자 불편 증가, 업무 생산성 저하 우려망연계 솔루션(스토리지, VDI 등) 별도 구축 필요하여 비용 증가논리적 망분리 (Logical Separation)개념하나의 단말에 가상화 기술을 활용하여 인터넷 영역과 업무영역을 논리적으로 분.. 2025. 3. 26. 데이터 시대 보안 전략: 개인정보와 사이버보안 실효적 기준과 방향 1. 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보안의 균형1.1 핵심 개념의 차이개인정보보호와 사이버보안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그 목적과 초점에서 차이가 존재합니다.개인정보보호: 데이터 소유자(개인)의 권리 보호에 중점을 두며, 법적 및 윤리적 의무를 강조합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처리, 저장, 공유, 삭제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설정하고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사이버보안: 기술적, 물리적 방어를 통해 모든 유형의 데이터를 보호하고, 비인가 접근과 데이터 손실을 예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네트워크 보호, 시스템 보안, 위협 탐지 및 대응을 포함합니다.1.2 공통점과 상호의존성개인정보 유출은 사이버보안의 취약점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반대로, 개인정보보호가 미흡할 경우 보안 조치의 정당성이 약화될 .. 2025. 2. 20. 전자금융 보안 vs. 업무 효율, 폐쇄망 규제 속 최적의 균형점 찾는 법 전자금융 관련 법규 준수와 업무 효율성 간의 균형점을 모색하기 위한 가이드입니다. 전자금융감독규정, 개인정보 보호법 등 국내 주요 법규를 준수하면서도 기업 내부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실제 활용사례를 토대로 폐쇄망과 일반망 간 데이터 전송 및 자동화 프로세스에 대한 예시를 제공합니다.배경전자금융거래는 사용자 정보와 자산을 다루기 때문에 높은 보안 수준과 법적 규제 준수가 필수입니다. 특히 전자금융감독규정, 전자금융거래법, 개인정보보호법 등의 주요 법령에서 전자금융 서비스 관련 데이터를 폐쇄망에서 관리하고, 외부망 접근을 엄격히 통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주요 근거 법령 및 규정전자금융거래법전자금융감독규정개인정보 보호법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정보통신망.. 2025. 2. 9. 비밀번호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n8n 워크플로우에서 암호화 저장 n8n의 CLI(명령줄 인터페이스)는 n8n 에디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CLI를 사용하면 워크플로우를 실행하거나, 워크플로우 및 자격 증명을 내보내고 가져오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n8n의 CLI 명령어에 대한 기능들의 예시입니다.CLI 명령어 실행 방법n8n을 설치한 방법에 따라 CLI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식이 달라집니다.1. npm으로 설치한 경우n8n을 npm으로 설치했다면, n8n 명령어를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n8n [명령어] [옵션]2. Docker로 설치한 경우Docker 컨테이너 내에서 n8n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docker exec -u node -it [컨테이너_이름] n8n [명령어] [옵션]예를 들어, 컨테이너 이름이 n8n.. 2025. 1. 5. 이전 1 2 3 4 ··· 25 다음 728x90 728x90